본문 바로가기
돈이 되는 이야기

장례식장 예절 (+옷차림, 부의금, 조문예절, 식사예절, 절할때 손위치)

2023. 8. 20.
300x250

장례식장 옷차림, 부의금, 조문예절, 식사예절에 대해 알려드립니다.

 

사회 초년생일 경우 장례식장 방문이 처음일 수 있는데요. 장례식 방문 전 반드시 내용을 확인하고 예의를 갖춰 방문하시기 바랍니다.

 

목차
1. 장례식장 갈 때 옷차림
2. 장례식장 꼭 가야 하는 경우
3. 장례식 부의금
4. 장례식 조문예절
5. 장례식 식사예절
6. 마치며...

 

장례식장_예절_썸네일

 

1. 장례식장 갈 때 옷차림

장례식장은 고인을 기리는 장소이기 때문에 옷차림은 최대한 검소하고 단정하게 해야 합니다. 화려한 옷차림이나 짙는 화장은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옷차림은 지역이나 문화에 따라 다를 수 있으므로 미리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옷차림에 너무 많은 신경을  쓰기보다 고인의 죽음을 진심으로 애도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성별에 따른 권고하는 옷차림을 확인하시고,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성별 옷차림
남성 검은색 정장이나 양복바지, 검은색 셔츠, 검은색 구두
여성 검은색 원피스나 검은색 치마, 검은색 블라우스, 검은색 구두
어린이 검은색 옷을 입는 것이 좋지만, 어린이의 경우 검은색 옷이 없으면 무난한 옷

 

 

 

2. 장례식장 꼭 가야하는 경우

한국의 장례 문화는 매우 다양하고, 지역이나 가정마다 장례식장에 참석해야 하는 촌수는 다릅니다. 

 

일반적으로 부모와 자식, 형제자매, 조부모, 증조부모, 고조부모 등은 장례식장에 참석하는 것이 예의로 여겨집니다. 또한 가까운 친척이나 친구 등도 장례식장에 참석할 수 있습니다.

 

장례식장_조문

 

장례식장에 참석하지 못하는 경우에는 꽃이나 조화를 보내거나 조의금을 보내는 것으로도 고인의 죽음을 애도할 수 있습니다.

 

다만, 장례식장에 참석하는 것은 고인을 기리고 그분의 죽음을 애도하는 의미 있는 행동입니다. 장례식장에 참석함으로써 고인의 가족과 친구들에게 위로와 힘을 줄 수 있습니다. 따라서 장례식장에 참석할 수 있는 경우에는 가급적 참석하는 것이 좋습니다.

 

 

 

3. 장례식 부의금

 

 

장례식 부의금은 고인의 관계와 지위에 따라 다릅니다. 일반적으로 부모, 형제, 자매, 자식, 배우자, 친척 등은 5만 원에서 10만 원을 내는 것이 적당합니다. 

 

친구나 지인 등은 3만원에서 5만 원을 내는 것이 적당합니다.

 

장례식 부의금은 홀수로 내는 것이 예의입니다. 홀수는 양수로, 짝수는 음수로 여겨져서 홀수로 내는 것이 고인을 기리는 의미로 여겨집니다.

 

장례식 부의금은 봉투에 넣어 주는 것이 예의입니다. 봉투에는 부의를 표하는 문구를 적어 주는 것이 좋습니다. 문구는 "삼가 고인의 명복을 빕니다." 또는 "고인의 명복을 빕니다."와 같은 문구와 왼쪽 하단에 자신의 이름을 작성합니다.

부의금 봉투는 접지 않습니다.

 

장례식 부의금은 고인의 가족과 친구들에게 위로와 힘을 주는 의미로 내는 것이므로 조의금을 낼 때는 고인의 죽음을 진심으로 애도하는 마음을 담아 내는 것이 중요합니다.

 

 

 

4. 장례식 조문예절

장례식 조문예절은 지역이나 문화에 따라 다를 수 있으므로 미리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조문은 첫째 날 또는 둘째 날에 하는 것이 좋습니다.

 

장례식장을 다녀보면 기독교일 경우와 기독교가 아닐 경우로 나뉘는데, 약간의 차이가 있습니다.

 

장례식_조문하는_사람들

 

✔ 일반적인 조문예절

① 장례식장에 도착하면 먼저 상주에게 인사를 합니다.

② 분향을 합니다.

③ 영정 앞에 두 번 절을 합니다.

④ 물러나와 상주에게 한 번 맞절을 합니다.

⑤ 조의를 표합니다.

⑥ 부의금을 전달합니다.

⑦ 장례식장을 떠날 때는 다시 상주에게 인사를 합니다.

 

 

절을 할 때 성별에 따라 손의 위치가 항상 헷갈립니다. 절 할 때 어떤 성별에 따라 어떤 손이 위로 가야하는지 영상을 보고 확인해 보세요. 영상 6분쯤에 손의 위치가 나와있습니다.

 

장례식장_절_손위치

 

✔ 기독교 조문예절

① 장례식장에 도착하면 먼저 상주에게 인사를 합니다.

 헌화를 합니다.

 영정 앞에 묵념을 합니다.

 상주에게 목례로 인사를 합니다.

 조의를 표합니다.

 부의금을 전달합니다.

 장례식장을 떠날 때는 다시 상주에게 인사를 합니다.

 

 

 

5. 장례식 식사예절

장례식장은 고인을 기리는 장소이기 때문에 식사 예절을 지키는 것은 매우 중요합니다. 다음 사항을 주의하여 식사하시기 바랍니다.

 

✔ 핸드폰은 진동이나 무음으로 하는 것이 좋습니다.

 상갓집에서 술을 마실 때는 본인 술은 본인이 따르며 건배는 삼가야 합니다.

 식사 중 큰 소리로 떠들지 않습니다.

 음식을 남기지 않습니다.

 음식을 씹는 소리를 크게 내지 않습니다.

 

 

 

6. 마치며...

저도 사회 초년생일 때 처음 간 장례식장에서 곁눈질로 선배들을 따라 했던 기억이 납니다. 미리 장례식장 예절을 확인하고 예의에 어긋나지 않도록 진심으로 조문하시기 바랍니다.

 

이상으로 장례식장 예절에 대한 글을 마칩니다.

 

 

치매 치료비(관리비, 약제비) 지원 대상과 신청 방법 정리

 

치매 치료비(관리비, 약제비) 지원 대상과 신청 방법 정리

보건소에서는 치매로 치료받은 관리비, 약제비를 지원하는 사업을 하고 있습니다. 지원 대상이 누군지와 어떻게 지원받는지 알려드리겠습니다. 신청 시 36만 원까지 지원이 되니까 대상자라면

wallamoney.tistory.com

 

산재보험 가입 대상자 누구일까? 쉬운 설명 알아보기

 

산재보험 가입 대상자 누구일까? 쉬운 설명 알아보기

근로과정에서 부상이나 질병이 발생하면 보상을 받을 수 있는 산재보험 가입 대상자를 알아보겠습니다. 산재보험 가입 대상자는 2008년부터 매년 확대 적용되고 있습니다. 참고로 23년 7월부터

wallamoney.tistory.com

 

 

반응형
네이버 블로그 공유 네이버 밴드 공유 페이스북 공유 카카오톡 공유


댓글